본문 바로가기
정보

태풍이 생기는 이유와 그 영향 그리고 대책

by 해피 한다스 2023. 6. 14.
반응형

 

올해도 어김없이 여름이 찾아 왔습니다.

오래는 유독 더 덥고 비도 많이 온다고 하죠.

또 얼마전에 태풍이 빗겨 가긴 했지만 아직 한반도에 앞으로 상륙하게 될

태풍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태풍이 왜 생기는지 그에 따른 영향과 피해사례 그리고 대책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태풍을 이해 하기 위해서는 응결의 현상을 알아야 합니다.

 

 

응결이란

수증기가 차가운 물체에 닿아 물로 변하게 되는 현상을 응결이라고 함.

예를들면

*욕실에서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뜨거운 물을 쓰는 경우 욕실의 거울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

*바닷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로 올라가 구름이 되는 현상.

 

 

공기의성질

*공기는 움직이며,온도가 서로 다른 공기가 만나면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감

 

*온도가 올라가면 공기의 부피가 커지면서 밀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밀도가 커지기 때문

 

*바다에서도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려고 하고 여름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 심해짐.

 

 

태풍의 정의

*열대성 저기압 : 습한 바다 위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해 구름 속에서 응결하며 강력한 상승기류를 만들며 

회오리를 형성하는 현상.

 

*태풍은 북태평양 남서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최대풍속이 초당17m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기상현상.

 

 

태풍의 다른 이름들

*북태평양 서쪽에서 발생 시 '태풍'

*인도양이나 남태평향 호주 부근에서 발생시 '사이클론'

*호주 인근에서 발생하던 것을'윌리윌리'라고 했었으나 2006년 부터 사이클론으로 통합됨

*명칭이 다른 이유는 원주민들이 부르던 말이 다 달랐기 때문.

 

 

태풍의 생성

*해면 부근의 기온이 27도 이상일때 발생함.

*열대지방이 더워지면 심한 상승기류가 나타나 비가 오게 되고 상승기류가 생긴 곳을 보충하기

위해 주위로부터 공기가 몰려오며, 몰려든 공기는 지구자전의 영향으로 오른쪽으로 맴돌기 시작함.

*모여든 공기는 상승하여 다시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며 그 양은 들어오는 공기의 양보다 많으므로 중심부는

공기가 희박해져서 강한 열대 저기압이 됩니다.

 

 

 

혹시 태풍의 이름을 어떻게 짓는지 아시나요?

*태풍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호주의 예보관이며,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 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이 전통에 따라 1978년까지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답니다.

 

*북서태평양에서 태풍 이름은 1999년까지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과 경계를 높이기 위하여 각 태풍위원회

회원국이 제출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풍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다시 1번부터 시작합니다.

*태풍이 보통 연간 대략25~30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4~5년이 걸립니다.

*태풍위원회 회원국에는 북한도 포함되어 있어서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은 20개 입니다.

*매년 개최되는 태풍위원회에서는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의 이름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제한 '나비'는 독수리로 대체 '매미'는 무지개, '수달'은 미리내로 변경 되었습니다.

 

 

태풍의 구조

*공기의 큰 소용돌이인 태풍은 높이가 약10km 반경은 수백km에 달합니다.

*태풍의 눈이라고 불리는 중심은 맑은 날씨를 보이며, 진행축의 오른쪽은 위험반경, 왼쪽은 가항반경이 됩니다.

*태풍이 회전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 때문이며, 지구가 돌기 때문에 태풍도 영향을 받아 도는 것입니다.

*태풍의 눈에는 하늘에서 땅으로 불어 내리는 하강 기류에 의해서 구름이 생기지 않습니다.

 

태풍이 순기능이 있을까요?

*태풍은 발생과 이동을 통해 지구의 열에너지 불균형을 조절해줍니다.

*태풍은 저위도에 축적된 에너지를 고위도 지방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의 에너지 뷸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대기 순환이 발생하는데 태풍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태풍이 동반하는 강한 비바람은 호수와 강,바다를 흔들며 뒤섞이면서 적조와 녹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태풍의 강도 분류
구분 최대풍속 풍속 15m/s 이상의 반경
약한 태풍 17~25m/s 300km미만
중간태풍 25~33m/s 300~500km
강한태풍 33~44m/s 500~800km
매우 강한 태풍 44m/s 이상 800km이상

 

 

 

태풍의 규모와 영향
풍속(m/s) 피해 영향
33~42 미미 건물에는 피해가 없음,주로 고정되지 않는 이동주택,관목 및 나무 피해,일부 해안가 도로의 침수와 교각의 작은 피해

43~49 보통 일부 건물의 지붕,문,창문의 피해,교각의 상당한 피해.해안과 저지대의 대피로가 태풍의 중심도달2~4시간 전에 침수
50~58

심함 작은 거주지와 공공건물 외벽의 일부손상과 함께 구조적 피해,이도주택 파괴,작은 구조물 파괴.
59~69 극심 작은 거주지의 지붕의 완전한 파괴와 함께 심한 외벽 손상, 해변의 대규모 침식,해안 근처 건물 저층의 피해
70이상 재난 많은 거주지와 도시건물의 지붕 완전파괴.작은 공공건물이 날아가고 일부 건물 완전 파괴.

 

 

 

대한민국 태풍피해 기록
순위 기록일 이름 피해금액(억원)
시작 종료
1 2002-08-30 2002-09-01 루사 51,479
2 2003-09-12 2003-09-13 매미 42,225
3 2006-07-09 2006-07-11 에위니아 18,344
4 2022-09-04 2022-09-06 힌남노 17,300
5 1999-07-30 1999-08-04 올가 10,490
6 2012-08-27 2012-08-30 블라벤,덴빈 6,365
7 1995-08-19 1995-08-30 재니스 4,563
8 1987-07-15 1987-07-16 셀마 3,913
9 2012-09-15 2012-09-17 산바 3,657
10 1998-09-29 1998-10-01 애니 2,749

*피해액은 해당 연도 물가를 기준으로 함.

 

 

 

태풍 대책

태풍 발생전 

*가정 하수구 및 집 주변 배수구 점검

*하천 근처에 주차한 자동차 이동

*응급 약품,손전등 등 비사용 물품 미리 준비

*지붕 ,간판,자전거가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

*대피장소,비상연락방법 숙지

 

 

태풍발생시

*하천주변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침수된 지하차도와 도로는 절때 지나가지 않습니다

*강풍에 의한 낙하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공터나 건물 안으로 대피합니다.

야외활등은 자제하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교량이 물에 잠긴 경우 절때 건너지 않습니다.

 

 

 

태풍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다뤄 봤는데요 앞로 오게 될 태풍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피해없었으면 하는 마음에 포스팅을 마무리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