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내월급빼곤 다 오르죠!
지구온난화로 날씨가 무더워지면서 에어컨 사용량도늘고
덥고습한 날씨에 에어컨을 안켤 수도없고..
전기료는 계속 오르고.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 클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절약을 해야겠죠!
한전에서 가만히 있다고 해주는 것은 아니고
신청 한 사람에 한해서 실행되는 서비스니까
우선적으로 가입해야겠죠!
신청대상자
-최근2년 사용전력량 중 최소1개년 사용전력량이 있는 주택용 고객 중 신청하는 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이 확인된 주민 등록표상 구성원
-적용시기는 신청일이 속하는 월부터 적용되지만,2023년6월7일~8월31일 까지
참여한 고객의 캐시백은 7월 사용량부터 적용됨
-온라인 사용이 서툰 어르신들을 위해 전화123으로도 신청가능
신청불가고객
-고압아파트 고객 중 호별 사용전력량이 제출되지 않은 개별세대
(복지할인 세대는 신청가능,타 세대의 경우 관리실에서 한전에 호별 사용전력량 제출되고
있는 곳만 신청 가능)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전년도 동월분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신축건물)
-에너지캐시백 이외에 한전이 시행하는 에너지 효율 소비자 행동변화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고객
에너지캐시백 계산방법
기본캐시백
1.최근2년간 같은달 전력량보다 3%이상 절감해야하고
2.내가 사는 동네 한국전력사업소 캐시백 참여자들의 평균 절감률 이상이어야 함
=>두가지 모두 충족해야 할인이 시작 됩니다.
절감량KWH x 30원(최대한도 30%)
우리동네 사는 캐시백 참여자들이 10%를 아꼈는데
나는 5%를 아꼈으면 캐시백 적용 불가
차등캐시백
-평균절감률과 관계없이
-절감률5%이상 달성시 30%를 한도로하여
-절감률 구간별로 1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함
예를들면
월334KWH를 쓰는 집이 있다면
10%를 아껴서 34KWH를 아꼈다고 치면
34x50 = 1,700원 할인 됨
거기에 캐시백 참여자들 보다 아꼈다면
34 x 30 =1,020원 (중복 할인)
=>2,720원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것임
거기다 내가 아낀 전기요금가지 추가 계산하면
10,000원이 넘게 할인 받을 수 있음.
※캐시백은 현금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음달 전기요금에서 차감되어
청구되는 방식입니다.
올해 이사를 했다면 내가 쓴 전력량 어떻게 계산할까?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으로 비교하고
-전 집주인의 기준에 맞춰서 내 캐시백이 계산됩니다
-전에 살던 사람들의 생활습관이 우리집 보다 많이 쓰는 편이었다면
20%까지도 절약 가능합니다.
캐시백에 가입하면 알수있는것
내가 얼마나 쓰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절감량
-과거 우리집 사용량과 지금 우리집 사용량
전기세 절약 법
-불필요한 전등 끄기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 끄기
-멀티탭 이용시 스위치 차단해서 대기전력 차단
-블라인드나 커튼 쳐서 냉기 손실 차단
-에어컨보다 선풍기 사용 권장
-티비 절전모드로 시청하기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겨울에 사용)
-먹을만큼만 밥해서 밥솥 보온시간 줄이기
한전에너지캐시백 가입하는 방법
한전에너지 캐시백을 검색해서
한전에너지 주택용 에너지키시백에 접속합니다.
회원가입 들어가서 개별세대를 클립하고 신청하기를 누릅니다.
참여불가 고객 사항 읽어보시구요.
본인인증 회원가입 들어가서 본인 인증을 합니다.
이용약관을 누르시고
개인정보 입력란인데 아이디,비밀번호,주소를 입력합니다.
고객번호는 주민등록 주소를 입력하시면 나옵니다.
약관 동의 합니다.
현재 거주지를 확인 합니다.
현재 거주지와 고객번호 등록이 나오고 아래 등록버튼을 누릅니다.
축하합니다. 캐시백 참여가 완료됐네요.
5분정도 지나면 가입완료 문자도 오네요~
꼭 가입해서 할인받아 보세요~